자료실

자료실

제목프린스턴대 졸업사 유머 (펌글)2024-11-18 06:10
작성자 Level 10

프린스턴대 졸업사 유머

글쓴이 : 추일엽 (경기노회,수원주님의교회,목사) 날짜 : 2013-06-08 (토) 09:24 조회 : 183  
프린스턴졸업연설 세계 금융계의 황제, 버낸키의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사
Bernanke의 젊은이들을 위한 10 가지 충언
미국 연방 준비제도 위원장인 버낸키는 아주 신중하고 입이 무거워서 경제 현안이 아니면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세계 금융계의 황제라고 불리울만큼 그의 말 한 마디에 따라 세계 경제가 좌지우지 되는 형편이니 그의 신중함은 당연한 것이다. 버난키가 6월 2일, 프린스턴 대학 졸업식에 초청되어 졸업생들을 위한 연설을 했다. 그런데 그의 연설이 New York 증권가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 사이에 큰 화제 꺼리가 되고 있다. 버난키가 졸업사를 한다니까 2008년에 하바드 졸업생들에게 했던 연설처럼 또 골치 아픈 경제 문제에 대해 이야기나 아닌지 모두들 시큰둥했었다. 그런데 그가 막상 연설을 시작하자 그의 유쾌한 유머와 재치있는 익살스러움에 모두들 놀라서 졸업식장이 온통 웃음바다가 되었다. 전문 코메디언들이 무색 할 정도였다. 버낸키는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젊은이들에게 10가지 충언을 했는데, 그 충언 모두가 자신의 진지한 삶의 행보를 통한 경험과 지혜, 그리고 전문 지식에서 비롯된 것들이라 한 마디 한마디 할 때 마다 졸업식장을 숙연하게 만들기도 했고 폭소를 자아내게도 했다. 버낸키의 10가지 충언은 프린스턴 졸업생들뿐만 아니라 한국을 비롯해서 많은 나라의 젊은이들이 듣고 명심해야 할 실제적인 명언들 인 것 같아 The Wall Street Journal 지가
요약해서 보도한 대로 여기에 옮겨 봅니다.
(1) "Don't be afraid to let the drama play out" 사람의 운명은 Forest Gump 의 쵸콜랫 상자처럼 아무도 모르는 것이니까 절대로 겁내지 말고 용기있게 살아가라!
(2) "Focus on becoming better human being" 사람이 자신 스스로에 대해 행복하지
못하면 아무리 큰 성공을 해도 만족감을 가질 수 없으니, 우선 좋은 인간이 되기 위해 힘 써야 한다.
(3) "Those who are luckiest also have the greatest responsibility" 하나를 가지면 둘을 가지고 싶어 하는 것이 사람의 욕심이지만, 운이 좋아서 크게 성공하거나 돈을 많이 번 사람은 사회에서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배려해야 한다.
(4) "Effort matters" 사람 중에 공부를 많이 하지 못했지만 열심히 정직하게 일해서 가족을 돌보는 사람들은 겉으로 보기에 성공한 사람들 보다 더 존경을 받아야 한다고 해요. 그러니 무엇이든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5) "Most policymakers are trying to do the right thing" 워싱턴의 가장 큰 힘은 아이디어이며, 정책가들은 그것을 실행에 옮기려는 사람들이라고 하는 군요. 공직생활이란 것이 쉬운 일은 아닐지라도 남을 위해 일한다는 그 자체가 참으로 보람된 일이라네요.
(6) "On economy" 경제라는 것은 아주 세분화 되고 복잡한 분야인데, 그것으로 정책 결정자들이 과거에 무엇을 또 왜 잘못했는지는 따지기는 쉬워도 장래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할 수 없다.
(7) "Money isn't everything" 돈이라는 것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단순히 살아가는데 필요한 수단일 뿐 최종 목표는 아니다.
(8) "Don't be afraid to fail" 누구든지 실패하는 것은 좋아하지 않지만, 실패라는 것은 살아가는 데나 배우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일부분이다. 옷을 더럽힐까 두려워하면 아무 일도 할 수 없다.
(9) On choosing a partner" 육체적인 아름다움이나 성적 매력이 중요하지만 영원한 것이 아니니 동반자를 찾을 때는 그런 것만 보지는 말라! 인생이란 긴 여정을 같이 살아 갈 파트너 선택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일이다.
(10) "Call your mom and dad once in a while" 키워준 부모의 은공을 잊지 말고, 자신들도 조금 있으면 성공한 자녀들이 전화해 주기를 기다리게 될 터이니 부모들에게 자주 연락하라고 그러는 군요. 가족의 유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1920년대 경제 대공황만큼이나 심각했던 미국의 불경기를 슬기롭게 극복한 그의 업적은 다음 세대에서 평가하겠지요. 그러나 어떤 권력에도 굴하지 않고 경제 전문인으로서의 최선을 다하는 그의 자부심은 정말 존경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