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자료실

제목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계2024-11-18 07:08
작성자 Level 10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계

Educational Provision and Support System for Ethnic Minority Immigrant Pupils in UK

저자명
김진희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다문화교육연구 제4권 제2호 (2011년 12월) pp.43-72 2005-4963 권호별 논문보기
발행정보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1년 |한국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70.117 ㄷ195) , 학지사 뉴논문
 

초록

본 연구는 영국사회에서 교육결손집단이자 사회취약계층인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
육지원체제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확산되고 있는 우리의
교육환경에서 교육소외계층으로 전락하고 있는 중도입국아동 및 청소년을 포함한 다문화가정 학생
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주기 위한 것이
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교육 기조와 방향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교육지원사업 및 프로그램과 교육지원체제 성공 사례를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체제는 전 국가적인 ‘교육수월성 강화(excellence
in education)’와 ‘사회적 통합(social inclusion)’을 도모하는 교육복지를 기조로 전개되고 있었다. 둘째,
중도입국 이주학생의 성공적 통합은 학교-가정-지역 커뮤니티의 다자간 파트너십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배경을 가진 이주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의 학교는 전담인력 배치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역량강화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넷째,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생활
지도 및 보살핌(good pastoral care)사업을 병행하였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우리의 교육체제가 다문화
적 배경을 가진 모든 학습자들의 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학교 ‘안’과 학교 ‘밖’의 다양한 교육지
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features and domains of educational provision for immigrant students who
have diverse ethnic, racial, cultural, and linguistical backgrounds in UK. Given that migrant children and
youth are highly marginalized and alienated with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due to their low
accessibility to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being othered discrimination in the Korean society, the
experience of British government’s education initiatives and its empowering programmes could produce a
significant implication and policy suggestion to enhance achievement and integration for immigrant pupils
in Korea. Major findings reveal that educational system and policy in UK is driven by the ethos of
Education Welfare. In contemporary context, the approach of education welfare underlines importance of
‘excellence in education’ as well as ‘social inclusion for underprivileged immigrants students’. Second,
multilateral partnership and intensive network among school-home-community is essential to bring successful
achievement and social inclusion for the students. Third, through spending Ethnic Minority Achievement
Grant(EMAG), British schools could employ EMA staffs and offer professional training to provide systemic
supports for newly arrived migrants pupils It led a good practice fulfilling students’ different needs and
attaining customized learning goals for each students. Forth, schools in Britain would promote diverse
education provisons not only through the pedagogical engagement but also good pastoral care services for
migrant students to enhance their achievement and ambition. Finally this study asserts that Korean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to strengthen Education for All, particularly for disadvantaged
migrant-background students in the schooling and to endue their capacity in the Korean society actively
engaging with multi-culturalism. It is signifiant to wide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learners regardless
of ethnicity, race, nationality and class.

목차

Ⅰ. 서 론
Ⅱ. 영국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 기조와 방향
Ⅲ.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제
Ⅳ. 결론: 시사점 및 논의
참고문헌